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5. 25. 00:14

1. LAN 카드의 역할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데스크탑용, PCMCIA방식의 노트북용)


2. 허브란?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할 수 있다. 여러 포트가 붙어있고,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재전송한다.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거리에 제약을 받는다. 이때 리피터를 사용해서 들어온 데이터를 다시 전송해준다. 


 허브는 한 PC가 통신을 하면 다른 콜리전 도메인( Collision Domain )의 PC들은 통신을 할 수가 없다. 콜리전 도메인은 하나의 PC가 통신을 하면 다른 PC는 통신을 할 수 없게 되고 하나의 PC에서 콜리전이 발생하게 되면 모든 PC가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이다.


3. 허브의 종류

 인텔리전트( Intelligent) 허브 NMS 상에서 모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어도 가능하다. 이 허브의 경우는 문제의 PC가 연결된 포트를 찾아내어 자동으로 고립시켜 버린다. 따라서 그 PC는 통신이 불가능하지만 다른 PC들은 영향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세미 더미 허브는 더미 허브와 인텔리전트 허브를 섞어 놓은 것으로 혼자 있을 때는 더미 허브라 불리고 인텔리전트 허브랑 있으면 인텔리전트 허브가 되는 허브이다.


 스태커블 허브? 스태커블이란 혼자 있는 것보다 여러 대가 스택으로 연결되면 훨씬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게 스태커블형의 특징이다.


4. 허브의 한계

 하나의 PC만 통신이 되고 나머지 PC들이 통신을 못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콜리전 도메인이 커지게 되면 영향을 받는 PC들이 늘어나고 통신의 속도가 점점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장비를 브리지( Bridge ) 또는 스위치( Switch ) 라한다. 최근에는 스위치를 많이사용한다.


쉽게 설명하여 허브는 한 노드에 하나만 통과가 가능하고 스위치는 여러 개의 노드에서 동시 통신이 가능하다. 1차선과 8차선의 차이


5. 브리지/스위치의 기능

 Learning 브리지나 스위치에 A라는 PC에서 맥 어드레스를 보내면 이를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저장시켜놓고 나중에 어떤 PC가 A에게 통신할 경우 자신의 테이블을 참조하여서 건너게 할 것인지 못건너게 할 것인지 정한다.

 Flooding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맥어드레스를 뿌린다

 Forwarding 다른 세그먼트에 있는 PC에 통신을 원할 경우 다른 세그먼트로 정보를 보내준다.

 Filtering 브리지를 못넘어가게 막는다. 같은 세그먼트안에서 통신할 경우에는 브리지를 막아서 못 넘어가게 한다. 이 기능으로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다.(PC마다 콜리전 도메인을 갖는다.)

 Aging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정보가 많이 쌓이면 저장 공간도 부족하고 느려지게 된다. 시간을 정하여 얼마 시간동안만 저장이되고 그 후로는 삭제가 된다.


6. 브리지/스위치 차이점

 스위치는 컷 스루, 스토어 앤드 포워드 

 브리지는 스토어 앤드 포워드


 스토어 앤드 포워즈( Store-and-forwarding ) 들어오는 프레임을 전부 다 읽고 처리하는 방식이다. 프레임을 다 읽고 처리하기 때문에 에러 복구 능력이 뛰어나다. 전송 매체가 다를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컷스루( cut-through ) 처음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만을 보고 바로 전송을한다. 빨리 처리하는만큼 에러 복구능력이 약하다.

 프래그먼트-프리( Fragment-Free ) 처음 48비트만이 아닌 512비트를 봐서 에러 복구 능력도 우수하고 다 읽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7. 브리지의 통신

 



* 출처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