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CTIVE mode
전통적으로 21번 port를 server ftp port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command를 위한 port이고
실제 data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data전송을 위한 port를 사용합니다.
보통 data전송 port는 20번 port를 사용합니다.
클라이언트는 1024번 이상의 빈 port를 골라서 command port로 사용하고
해당포트에 +1을 더한 port를 data port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 클라이언트가 서버 ftp에 접속하려고 1080번 port를 이용하여 서버 ftp에
접속 요청을 날립니다. 이때 +1더한 1081번 port의 정보를 같이 서버에 보냅니다.
2. 서버 ftp의 21번 포트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하고 21번 command port는
1080번과 20번 data port는 1081번과 connection을 맺습니다.
3.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로 해당 데이터를 넣어줍니다.
2. PASSIVE mode
passive mode 일때 서버의 command port는 21번이며
data port는 1024번 이상의 사용하지 않는 port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클라이언트는 1024번 이상의 빈 port를 골라서 command port로 사용하고
해당포트에 +1을 더한 port를 data port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 클라이언트가 서버 ftp에 접속하려고 1080번 port를 이용하여 서버 ftp에
접속 요청을 날립니다. 이때 +1더한 1081번 port의 정보를 같이 서버에 보냅니다.
2. 서버 ftp의 21번 port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하고 21번 command port는
1080번과 connection을 이루며
서버측의 1024이상의 빈 port와 클라이언트의 1081번 port와 connection을 맺습니다.
3.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리눅스 초급 > F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4) FTP와 FileZilla 사용하기 (0) | 2016.05.02 |
---|---|
[FTP](3) FTP 설치 및 설정 (0) | 2016.04.28 |
[FTP](2) FTP 기본명령어 (0) | 2016.04.28 |
[FTP](1) FTP의 이해 (0) | 2016.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