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초급/DHCP'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6.05.03 [DHCP](2) DHCP 기본설정
  2. 2016.05.03 [DHCP](1) DHCP의 이해

1. yum으로 설치

[root@localhost ~]# yum -y install dhcp*


[root@localhost ~]# rpm -qa | grep dhcp*

dhcp-devel-4.1.1-49.P1.el6.centos.x86_64

dhcp-common-4.1.1-49.P1.el6.centos.x86_64

dhclient-4.1.1-49.P1.el6.centos.x86_64

dhcp-4.1.1-49.P1.el6.centos.x86_64


2. 처음에 /etc/dhcp/dhcpd.conf 에 내용이 없기 때문에 sample 파일을 복사해온다.

[root@localhost ~]# cp /usr/share/doc/dhcp-4.1.1/dhcpd.conf.sample /etc/dhcp/dhcpd.conf


3. vi /etc/dhcp/dhcpd.conf 편집

#

# DHCP Server Configuration file.

#   see /usr/share/doc/dhcp*/dhcpd.conf.sample

#   see 'man 5 dhcpd.conf'

#

default-lease-time 600; // 기본 연결 시간입니다.

max-lease-time 7200; // 최대 연결 시간입니다.

option domain-name-servers 168.126.63.1; // 도메인 네임 서버의 IP 주소

subnet 220.116.179.0 netmask 255.255.255.0 { // IP 주소 대역과 서브넷마스크 

        option routers 220.116.179.254; // Gateway 주소

        option broadcast-address 220.116.179.255; // Broad cast 주소

        range 220.116.179.100 220.116.179.250; // 동적으로 할당할 IP 주소 

}








'리눅스 초급 > DH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1) DHCP의 이해  (0) 2016.05.03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1. DHCP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프로토콜은 TCP/IP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컴퓨터가 IP 주소의 할당을 요청할 경우 이를 할당해 주며 동시에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에 대한 다른 정보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DHCP 서버에 다른 호스트에 할당할 IP 주소 pool을 지정하며 IP를 할당받을 호스트에는 dhc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BOOTP 프로토콜도 DHCP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결국 PC의 수가 많아지거나 기존에 배정했던 IP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IP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DHCP 서버에서 안 쓰는 IP를 반납시키고 현재 사용가능한 IP 중에 하나를 배정해준다.


2. DHCP 구성

 2-1. DHCP 서버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일정한 범위의 IP 주소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여 자동으로 설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 주소를 변경 없이 유지해 줄 수 있다.

 2-2. DHCP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시작하면 DHCP 서버에 자신의 시스템을 위한 IP 주소를 요청한다.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부여 받으면 TCP/IP 설정은 초기화되고 다른 호스트와 TCP/IP를 사용해서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리눅스 초급 > DH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2) DHCP 기본설정  (0) 2016.05.03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