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HCP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프로토콜은 TCP/IP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컴퓨터가 IP 주소의 할당을 요청할 경우 이를 할당해 주며 동시에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에 대한 다른 정보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DHCP 서버에 다른 호스트에 할당할 IP 주소 pool을 지정하며 IP를 할당받을 호스트에는 dhc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BOOTP 프로토콜도 DHCP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결국 PC의 수가 많아지거나 기존에 배정했던 IP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IP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DHCP 서버에서 안 쓰는 IP를 반납시키고 현재 사용가능한 IP 중에 하나를 배정해준다.


2. DHCP 구성

 2-1. DHCP 서버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일정한 범위의 IP 주소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여 자동으로 설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 주소를 변경 없이 유지해 줄 수 있다.

 2-2. DHCP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시작하면 DHCP 서버에 자신의 시스템을 위한 IP 주소를 요청한다.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부여 받으면 TCP/IP 설정은 초기화되고 다른 호스트와 TCP/IP를 사용해서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리눅스 초급 > DH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2) DHCP 기본설정  (0) 2016.05.03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