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 /etc/named.conf -> DNS 데몬 설정 파일
# vi /etc/named.conf
// // named.conf // // Provided by Red Hat bind package to configure the ISC BIND named(8) DNS // server as a caching only nameserver (as a localhost DNS resolver only). // // See /usr/share/doc/bind*/sample/ for example named configuration files. // options { //listen-on port 53 { 127.0.0.1; }; listen-on port 53 { any; }; -> DNS 서버의 port 번호 설정과 접근 할 수 있는 IP 설정 옵션 -> DNS port 53에 대한 모든 IP가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 listen-on-v6 port 53 { ::1; }; directory "/var/named"; -> zone 파일 디렉토리 설정 옵션 dump-file "/var/named/data/cache_dump.db"; -> cache dump 파일이 생성되는 파일의 디렉토리 설정 옵션 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stats.txt"; -> 통계파일이 생성되는 디렉토리와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설정 옵션 mem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mem_stats.txt"; -> memory관련 통계파일이 생성되는 디렉토리와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설정 옵션 allow-query { any; }; -> DNS 서버의 쿼리를 허용할 ip 대역 설정 recursion yes; -> 외부에서 Name Server를 지정하여 허용/차단 옵션 dnssec-enable yes; -> DNSSEC 서명검증 기능 설정 (공개키 암호화방식으로 데이터 위조-변조 공격을 막는 설정 ) -> DNSSEC ( 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 ),bind 9버전 부터 적용 dnssec-validation yes; -> DNSSEC 검증 확인 설정 dnssec-lookaside auto; /* Path to ISC DLV key */ bindkeys-file "/etc/named.iscdlv.key"; managed-keys-directory "/var/named/dynamic"; -> DLV ( DNSsec Lookaside Validator ) }; logging { channel default_debug { file "data/named.run"; severity dynamic; }; }; ->Name Server의 실행에 있어 디버깅시에 참조 할 수 있는 log파일 생성 위치를 지정하는 설정 옵션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 "." 루트 도메인 지정 -> type : hint(루트도메인을 지정), master(1차 네임서버), slave(2차 네임서버) -> file : Name Server에 대한 설정을 named.ca라는 파일에서 참조하는 설정 -> named.ca 파일은 13개의 루트 네임서버의 정보가 있다. -> 루트 네임서버가 13개일 경우 493Byte으로 UDP 연결이 가능하지만 루트 네임서버가 13개 이상일 경우 512Byte가 넘어서 TCP 연결로 해야하기 때문에 부하가 많아 생겨 13개까지 루트 네임서버가 있다.
include "/etc/named.rfc1912.zones"; -> 외부 설정파일 설정 옵션 include "/etc/named.root.key"; -> root 영역을 위한 DNSKey 파일
# named-checkconf /etc/named.conf -> conf 파일 정상적인지 체크 |